분류 전체보기 229

💭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지적 겸손함’을 갖춰야 해요

1. 다른 사람의 생각이 맞을 수도 있으며, 내가 아무리 뛰어나도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 이를 심리학자들은 '지적 겸손함(intellectual humility)'이라고 부른다. 2. 그리고 이 ‘지적 겸손함’이 '애자일 조직’ 등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드는 데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3. (특히) 지적 겸손함이 낮으면 ‘사회적 자경주의’와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경주의’란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태도나 입장을 말하는데, 지적 겸손함이 낮으면 다른 사람의 의견에 열린 태도를 가지기보다는 자신의 의견과 스스로를 보호하는 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된다. 4. 게다가 한 연구에 따르면, 지적 겸손함이 떨어지는 사람일수록 학습의 양도 적었다...

💭 피드백에 개방적인 사람이 더 많은 걸 성취하는 이유

1. 남들에게 어떻게 보일까 걱정하지 말고, (제발) 목표를 달성할 궁리를 하라. (어차피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신에게 별 관심이 없다) 2. (그러니) 의심은 치워버리고 목표 달성에 집중하라. (특히) ‘적절한 비판’이야말로 당신이 받을 수 있는 가장 소중한 피드백임을 명심하라. 3. ‘스키를 탈 때 체중 이동에 문제가 있어서 넘어졌다’는 스키 강사의 지적을 당신에 대한 비난이라고 여기는 것만큼 어리석고 비생산적인 일이 있을까? 4. 회사 상사가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문제점은 (그저) 고치고 나아가면 된다. 5. (따라서)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다른 사람이 당신을 비난하면 (오히려) 감사히 여겨라.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능력과 용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지만, (아이러..

💭 콘텐츠는 ‘어떻게 경험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져요!

1. ‘지식’과 ‘정보’는 어디서 어떻게 얻느냐에 따라 그 모습이 달라진다. (똑같은 약초라도 그게 의사에게는 치료제가 되지만,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는 할머니에게는 추억거리가 될 수 있다) 2. 즉, 정보는 옷을 입기도 하고, 때로는 이상한 물건을 들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를 이해하면 책을 읽을 때 자세나 컨디션을 제법 바꾸게 된다.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그 책에 있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으니까) 3. 그래서 나(=마츠오카 세이고)는 같은 책이라도 읽는 방법을 바꾸는 일이 많다. (이처럼) 세상의 정보는 그게 어떤 정보든지 알몸이 아니라, 반드시 ‘가문’과 ‘환경’과 ‘주소’와 ‘취향’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거기에는 탈것과 의복과 소지품의 흔적이 있다. 4. (따라서 편집이란, 이것들을 ..

🧑 ’인간 중심적인 기획’이란 어떤 모습인가?

1. ‘더그 디츠(Doug Dietz)’는 GE에서 24년을 근무한 고참 직원이었으며, GE 헬스케어 팀에 근무하며 첨단 영상 의료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일을 도맡았다. 2. 그가 개발에 관여한 수백만 달러짜리 MRI 시스템은 고통 없이 인간의 몸을 꿰뚫어보는 장치로, 불과 한 세대 전만 해도 마술이라고 생각됐던 것이었다. 3. 몇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자면, 더그는 2년 반이나 이끌어 온 한 MRI 프로젝트를 끝냈고, 스스로가 대견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환자 한 명이 MRI 촬영을 하러 오는 모습을 목격했다. 4. MRI 촬영을 하러 온 환자는 허약해 보이는 소녀였고, 부모의 손을 꼭 붙잡고 있었던 소녀는 겁에 질려 있었다. 더그가 만든 MRI 기계를 보자 온갖 무서운 생각이 떠오른 모양이었다..

⛏️ 도구는 인간의 사고를 어떻게 바꾸는가?

1.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글을 쓰기 위해 펜 대신에 타자기를 사용한 최초의 인물들 중 하나였다. 2. 1879년 경부터 눈이 잘 보이지 않았던 니체는 ‘자신의 생각을 그대로 글로 옮겨주는 기계’의 가능성을 꿈꾸었고, 1882년부터 덴마크의 발명가 라스무스 말링 한센(Rasmus Malling-Hansen)이 개발한 타자기 ‘Writing Ball’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3. (그리고) 눈을 감고도 타이핑할 수 있을 정도로 (타자기에) 숙련이 된 니체는 1882년에 ‘즐거운 학문 (The Gay Science)’의 초판을 타자기로 썼다고 한다. 4. (그런데) 타자기를 그저 ‘더 빨리 글을 쓸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수단’ 정도로 여겼던 동시대의 다른 작가..

🇰🇷 요즘 한류는 Z세대를 타고 흘러요

1. 요즘 일본 Z세대(19~25세) 사이에서 한국 콘텐츠들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2. OTT 순위 전문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 집계에 따르면, 최근 일본 넷플릭스 TV쇼 부문 1위부터 10위까지 작품 중 무려 7개가 한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었다. 3. 특히 국내에서도 매회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 중인 tvN 주말드라마 '일타스캔들'의 경우, 지난 20일부터 1위 자리를 지키면서 한·일에서 '쌍끌이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 외에도 '연애대전', '사랑의 이해', '피지컬:100', '악의 꽃', '트롤리',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이 상위 랭킹에 이름을 올렸다. 4. 지난해 7월 공개된 '2002년 상반기 트렌드 랭킹'에서는 가장 좋아하는 아티스트로 ‘BTS’가 꼽혔다. 뿐만 아니라, 신인..

📈 딸이 틱톡으로 만들어낸 아빠의 역주행

1. 미국의 한 무명작가가 ‘딸의 틱톡 홍보 덕분에’ 베스트셀러 작가로 거듭났다. 2.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버몬트주에 사는 변호사이자 세 자녀의 아버지인 ‘로이드 리처즈’는 소설 작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14년간 집필 작업에 열중한 끝에 2012년에 스릴러 소설 '스톤 메이든스'을 출간했다. 3. 그러나 그의 소설은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고, 리처즈는 (그저) 책을 낸 것에 만족해야 했다. 4. (하지만) 작가로서 리처즈의 삶은, 지난 8일 그의 딸이 틱톡에 16초짜리 짧은 영상을 올린 뒤에 완전히 뒤바뀌었다. 5. 리처즈의 딸은 영상에서 "아빠는 지난 14년간 책을 썼어요. (그리고) 아빠는 책을 썼다는 사실만으로도 기뻐하지만, 저는 아빠의 책이 좀 팔렸으면 좋겠어요. (그..

💰 월 천 버는 사람보다 월 천 쓰는 사람

1. 소셜 미디어 등에 광고로 떠도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언젠가부터 사람들 사이에선 ‘월 1000만 원 버는 법’을 알려주는 콘텐츠들이 꽤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2. 개인적으로는 그런 콘텐츠들에 별 관심이 없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그게 아무리 대단한 방법이라도 어떤 사람에게 유효했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도 유효할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이고, 어떤 성취에 있어 How to 만큼이나 ‘타이밍(When)’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 3. 즉, 어떤 사람에게 그 시기에 유효했다고 해서, 그게 다른 누군가에게 지금 이 순간 유효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다는 이야기. 그리고 이에 대해 다니엘 핑크가 라는 책에서 자세히 다룬 적이 있는데.. 4. 제목 때문에 콘텐츠 업계 사람들은 이 책에..

💭 자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는 ‘미친 사람’이 진짜 세상을 바꾸는 합리적 이유

1. 그게 사무직이든, 부동산 중개업이든, 정책 결정 업무든, 현재 직업이 무엇이든 자신의 일을 창의적으로 접근하면, 새롭고 개선된 해법과 성취를 이룰 수 있다. 2. (즉) ‘창의적 자신감’은 그게 무슨 일이든 지금 당신이 하고 있는 일에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 창의적 자신감 그 자체가 문제 해결력을 키워주는 새로운 도구이기 때문이다. 3. 전설적 심리학자인 스탠퍼드대학의 ‘앨버트 밴두라 교수’는, “사람의 신념 체계가 행동과 목표와 지각에 영향을 준다”는 걸 증명했다. 4. (풀어 설명하면) 자신들이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자신이 시작한 일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앨버트 밴두라 교수는 이런 확신을 ‘자기효능감(self-efficacy)’라고 불렀다. 5. (이처럼 자신이..

💭 탁월한 결과를 만들고 싶다면, 취향을 기르는 데도 투자해야 해요

1. 라디오 진행자인 '이라 글라스'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초심자에게 아무도 말해주지 않은 사실이 있어요. 창의적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 분야에 발을 들이게 된 까닭은 (이미) '훌륭한 취향'을 가졌기 때문이라는 점이에요" 2. "그런데 이 때문에 괴리가 생겨요. (당신이 가진 훌륭한 취향에 비해) 당신이 처음 몇 년간 만드는 창작물은 신통치 않거든요. 뛰어난 결과를 내려고 노력하고, 당신에게는 잠재력 또한 있지만, 당신의 초기 작품은 뛰어나지 않아요" 3. "그러면 당신은 높은 취향 탓에 당신의 작품에 실망하게 되죠. 많은 사람들이 이 단계를 넘어서지 못하고 그만둡니다" 4. 즉, 탁월함을 감지하는 내면의 레이더(=취향)가 강할수록 평범함을 참기 더 힘들어지는 것이다. 5. (하지만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