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9

💭 인생에선 선불을 지불해야만, 제대로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1. 기회는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 살다 보면, 누구나 ‘이때다!’ 싶은 순간이 온다. (그렇게) 우리는 일상적인 시간과 다른 이 순간을 ‘기회’라고 부른다. 2. (그리고) 기회는 (요란하게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늘 조용하고 수줍게 찾아왔다가 날쌘 토끼처럼 순식간에 도망간다. 3. (그래서 세상 사람들은 둘로 나뉜다) 그 기회를 잡는 자와 흘려보내는 자. 4. 돌아보면, ‘그때가 기회였구나’ 후회하게 될 때도 많지만, 기회임을 알아챘을 땐 망설일 것도, 계산할 것도 없다. 그냥 잡아야 한다. 5. 아비로서, 내가 본 흥민이의 첫 번째 기회는 대한축구협회의 ‘우수선수 해외유학 프로그램’이었다. 당시 대한축구협회는 우수한 고교 축구선수를 선발해 유럽과 남미 등 축구 선진국으로 유학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진..

💭 어려운 게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겁니다

1. 꽃이 피고 바람이 불고 생각하는 모든 현상은 원자, 동위원소, 이온의 작용이다. (즉, 세상 모든 건 물리학적 현상이다) 2. (따라서) 물리학자의 별을 만나고 난 뒤에야, 진정한 어린 왕자의 별을 만날 수 있다. 3. ‘논리’와 ‘느낌’은 세계를 바라보는 2개의 창이다.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으로 물질과 시공의 구조를 물리 법칙으로 이해하면,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 깊이 알게 된다. 4. (물리학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으면) 자연현상은 구조와 논리 그 자체로 아름답다. 그래서 논리적 훈련이 선행되면 정서적 느낌이 더 긴 여운을 남긴다. 5. (자연에선) 양성자 단 1개의 차이로 고체에서 액체가 되고, 귀금속에서 유독 물질이 된다. (결국 모든) 자연 현상은 전자, 양성자, 광자의 상호작용일 뿐이다..

💭 단순히 그럴듯한 컨셉을 잘 잡는다고 해도, 경쟁 우위가 만들어지진 않아요!

1. (사람들은 좋은 컨셉, 신박한 아이디어가 차별화와 오리지널리티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기업의 경쟁 우위는 한 기업이 1)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2) 홍보하고, 3) 배송하며, 4) 고객 응대까지 전 과정에 걸친 여러 가지 개별 행위 속에서 발생한다. 2. 이러한 각각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원가를 낮추고 차별화 요소를 만드는 기반이 된다. 3. 예를 들어, 원가 우위는 저렴한 비용의 유통 시스템, 효율적인 조립 공정 혹은 뛰어난 영업 인력 활용 등과 같은 개별적 활동에서 생겨난다. 4. 마찬가지로, 차별화 역시 고품질의 원료, 적절한 주문 발송 시스템 및 뛰어난 디자인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서부터 발생한다. 5. (즉, 몇 개의 현란한 아이디어나 부분적 비용 절감만으로는 경쟁 우위가 만들어지진 ..

📚 지식과 교양의 관점에선, 영화는 책을 영원히 따라가지 못할 겁니다

1. “당연히 영화도 교양의 일부이고요. 중요한. (다만) 영화는 말하자면 술 같은 거고요. 책은 물 같은 거예요” 2. “책은 우리를 좋은 의미에서 차갑게 만들어주고, 영화는 좋은 의미에서 우리를 뜨겁게 만드는데요. 그런데 이성은 기본적으로 차가운 겁니다" 3. “(그렇기에 적어도) 교양에 관한 한, 영화는 책을 영원히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성의 속성 자체가 물 쪽에 가까워요. 불이 아니라" - 이동진 평론가 영상 보러 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RS9uUvos8wk&t=2382s 요약 출처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n20uI5gairth7hbvMFejCcG9NI2_3uo= 🧢 인생에선 선불을 지불해야만, ..

💭 출판사가 팬덤을 구축한 방법

1. 독자를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 독서 인구가 줄어든다는 조사가 많은 상황에서, 유유출판사는 무리하게 독자의 타겟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한 달에 책을 3~4권 꾸준히 읽는 독자’를 대상으로, 바꿔 말하면 한 달에 3~4권 정도의 책을 읽을 정도로 ‘자기성장 의지가 뚜렷한 독자’를 대상으로 책을 만듭니다. 2. 무리하게 타겟이나 분야를 확장하지 않고, 핵심 독자를 만족시키는 콘텐츠를 꾸준히 만듭니다 : 그렇게 유유출판사는 10년 동안 핵심 독자에게 집중해서 책을 만들고 있는데요. 핵심 타겟인 ‘자기성장 의지가 뚜렷한 독자’의 공부를 돕는 책을 만들다 보니, 공부의 가장 기본이 ‘읽기'와 ‘쓰기'에 집중하게 되었고, 10년의 시간이 쌓여서 현재 유유출판사는 알라딘 기준 ‘책 읽기/글쓰기 분야 1위 출판사..

💭 마음이 조급한 상태에선 열심히 해도, 성과는 오히려 떨어집니다

1. 때로는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하는 사람들이 (단기적으로는) 더 열심히 일을 하는 경우가 있다. 2. 이런 일이 발생하는 첫 번째 이유는, 그들은 그 일에 필요한 시간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기간에 열심히 하면 빠르게 성과가 날 것이라고 착각하고, 순간적으로만 열심히 한다) 3. 또한, 그들은 모든 일이 제대로 잘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하지만 누구나 알겠지만, 아무런 문제 없이 순탄하게만 진행되는 일이란 없다. 예상치 못한 일은 언제나 일어난다. (위대한 일일수록 더 그렇다) 4. 그리고 예상치 못한 일이 깜짝 선물이 되는 경우는 절대 없다. 그러므로 목표를 달성하는 지식노동자는 어떤 일을 할 때 실제 필요한 시간 이상으로 여유 있게 일정은 잡는다. 5. 열심히 하는데 성과가 안 나..

💭 스토리텔러는 틀리는 걸 두려워해서는 안 돼요!

1. 좋은 비즈니스 스토리는 단순하고 믿을 수 있으며 설득력이 있다. 2. 그러나 좋은 비즈니스 스토리를 말하려면 사업과 그 사업이 속한 시장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업과 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고, 데이터를 ‘정보’를 전환해야 한다. 3.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데이터가 (저절로) 스토리를 말해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4. 따라서 스토리텔러라면 ‘판단’을 피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동시에 아무리 데이터와 정보를 토대로 삼는다고 해도 판단은 판단일 뿐이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5. 스토리텔러는 (아무리 객관적인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언제나 틀릴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스토리텔러의 약점이 반영됐기 때문이 아니라, 불확실성 때문에 생..

💭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큰 리스크는 ‘상상력의 부족’이에요

1. 손실을 피하려면, 1) 무엇보다 손실을 유발시키는 함정들을 이해하고, 2) 그로부터 멀어질 필요가 있다. 2. 그러려면 우선 투자에는 많은 종류의 함정이 존재하며, 그 함정들이 도대체 어떻게 생겼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3. 그중 사람들이 가장 쉽게 간과하는 함정은 ‘상상력의 부족(failure of imagination)’이다. 즉, 발생 가능한 결과의 범위를 종합적으로 그려보지 못하거나, 좀 더 극단적으로 발생하는 결과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4. (인생도 마찬가지이지만) 투자는 대체로 '미래'를 상대하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대로) 투자를 하려면, (제대로 인생을 살려면), 우리는 미래의 상황이 어떨 것 같은지에 대한 (어느 정도의) 견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5..

💭 '실용'은 가치가 사라지면 소멸하지만, '낭만'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 살아남아요!

1. ‘1987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에서 레코드판(LP 음반) 판매 수익이 CD를 앞질렀다’는 보고서가 발간됐다. 2. 미국 음반산업협회(RIA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레코드판 판매 규모는 약 4100만 장, 총 12억 달러(약 1조 7000억 원)에 달한다. 반면 CD 판매는 3300만 장, 4억 8300만 달러에 그쳤다. 3. (특히) 지난해 레코드판 판매는 17%나 증가한 반면, CD 매출은 18% 감소했다. 4. (이에 대해) 미치 글레이저 RIAA 회장 겸 CEO는 “지난해 레코드판 판매는 레코드판이 현대 음악 시장에서 제 위치를 단단히 굳히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5. 그러면서 글레이저 회장은 “음악 애호가들은 레코드판이 전하는 고품질의 사운드와 생동감 있는 연결감을 사..

🖼️ 돈이나 권력에 비하면, 예술은 무력해요! 그러나..

1. “저는 예술이 어떨 때 (돈이나 권력에 비해) 참 무력하다고 느끼거든요” 2. “(그런데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예술은 사람의 마음을 만져줄 수 있고, (특히) 한 개인의 마음을 만져줄 수 있다고” 3. “(그러면) ‘예술에 의해 감동받은 영혼들이 세상을 바꿀 것이다’라고요” - 정재일 음악 감독 영상 보러 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PLvzpkZwsk8&t=1040s 요약 출처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itfAEEztHqq1_7TD7BtGnVwfc1dHeho= 🧢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큰 리스크는 ‘상상력의 부족’이에요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