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11

[리더] [도전 네트워크] 🧢 급변하는 시대에 휩쓸리지 않고 단단하게 살아가려면..!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NiR2mbXFAoQnzVU65e5-bTNQvGMF8Q== 🧢 급변하는 시대에 휩쓸리지 않고 단단하게 살아가려면..!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원문) 💭 급변하는 시대에 휩쓸리지 않고 단단하게 살아가려면..! 1. 앞으로 기업은 점점 자아를 각성하고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어가는 ‘개인’을 회사를 위한 도구로 쓸 수 없을 겁니다. 2. 그리고 개인들은 점점 더 자발적으로 공동체의 선의를 위해 살아가는, 쌍방향의 깊은 팬덤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움직일 겁니다. 모두가 창작자가 되고, 서로가 서로의 팬이 되는 사회가 도래하는 것이죠. 3. 이런 상황이 펼쳐지면, 리더의 기준도 변하게 됩니다. 힘의..

(CES특호) 공룡도 혁신기업이 될 수 있어요!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ta293OvUPMbFio0aXZYtxP-U_gPqkA== CES 특별판 #4 : 공룡도 혁신 기업이 될 수 있다. 삼성, 현대차 CES에서 날아다닌 이야기 stibee.com (뉴스레터 원문) 뉴스레터 일부: "개인적으로는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궁극의 방향은 메타버스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건 바로 고객 같아요. 예전만 하더라도 가성비 좋은 차만 팔면 됐는데, 이제는 그런 시대가 서서히 끝나 가고 있어요. 고객들이 원하는 것은 이제 보다 더 훌륭한 브랜드 경험인데, 자동차회사로서 그것을 더 많이 찾아 나선 과정 같아요." 고객들이 원하는 건 단순한 가성비가 아니라 더 훌륭한 브랜드 경험이라는 말이 와 닿았다. 애플 제품들이 비싸면..

[스타트업] [주식] [실수] 🧢 재능이 아니라, 취향이 천재를 만듭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RKNMo5SKW-qxDXoos__Qzi9H5MtJAA== 🧢 재능이 아니라, 취향이 천재를 만듭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원문) 💭 재능이 뛰어난 사람이 아니라, 자신만의 취향이 뚜렷한 사람이 천재가 됩니다 1. "한국 사람들은 ‘뭘 하기에 늦었다’는 말을 너무 많이, 가혹하게 해요. 타인에게도, 자신에게도" 2. “(그런데 말이죠) 어떤 일이라도 시작하기에 늦은 일은 없지 않을까요?” 3. “(사람들은 많은 문제를 재능과 능력의 문제로 생각하지만), (저는) 능력 차이라기보다는 ‘취향의 밀도 차이'라고 생각해요. 4. "정말 이걸 사랑한다는 강렬한 끌림을 느끼는 사람이 그 분야를 ..

💭 이동진 평론가가 14년 동안이나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었던 이유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YhwzBR6-i4TF7Hz6beiplGNn4Agc-Q== 🧢 성장은 상실의 한 가운데서 일어납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원문) 💭 이동진 평론가가 14년 동안이나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었던 이유 1. "제가 블로그를 14년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목적과 방향성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2.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이) 그냥 습관이었기 때문에 가능했거든요. 적다 보면 그것 자체가 기록이 되고" 3. "계속 써나가다 보면 결국은 자기에게 맞는 형식이나 삶의 패턴이 생깁니다. 그래서 오늘도 하는 거고, 내일도 아마 할 거예요" - 이동진 평론가 글에 대한 개인적 느낌, 생각: 1. 솔직히 좀..

🧢 압도적으로 성공한 사람과 평범한 사람의 차이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0o_glIJr4T24gSkcJ7BoSwG8q6Weyg== 🧢 압도적으로 성공한 사람과 평범한 사람의 차이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속 인상 깊었던 글: 💭 압도적으로 성공한 사람과 평범한 사람의 차이 1. 도대체 일반인보다 10배 이상의 돈을 번 사람들은 뭐가 다른 걸까? 남들보다 IQ가 100배, 1000배인 것도 아닌데.. 어떻게 해서 100배, 1000배 이상의 돈을 번 걸까? 대체 어떻게 해서? 2. 나는 이에 대한 답을 알고 있다. 그들은 당신보다 원대한 꿈을 꿨다. 그들의 기대치는 당신보다 높았다. 이게 정답이다. 3. (나는) 다시 태어난다면 바꾸고 싶은 게 뭐냐는 질문을 종종..

[성장][워크로그]🧢 큰 힘은 큰 겸손함을 필요로 합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0lxN6iqkrLF5co33x77cPhBGx_SHpw== 🧢 큰 힘은 큰 겸손함을 필요로 합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속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글: 💭 커리어적으로 성장하고 싶다면, 워크로그부터 작성해보세요! 1.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장을 갈망하지만,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다 보면 막연하고 막막해지기 쉽습니다. 2. 그때 해볼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는, 지난 1년 동안 자신이 했던 일을 ‘워크로그(worklog)’로 만들어보는 것인데요. 3. 워크로그란, 올 한 해 동안 내가 해낸 것과 부딪히고 실수하면서 깨닫게 된 것을 한 달 단위로 돌아보고, 무엇을 어떻게 ..

[팬덤]🧢 모든 변화는 '마음'에서부터 시작됩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a9b5iqjV18j8z1EJvd_9uKoZGDrvqw== 🧢 모든 변화는 '마음'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속 인상깊었던 글: 💭 얍삽한 사람과 헌신적인 사람의 차이 1. 얍삽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성공을 시기하고 질투하지만, 헌신적인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성공을 (진정으로) 즐길 줄 압니다. 2. 얍삽한 사람은 공은 독점하고 책임은 회피하지만, 헌신적인 사람은 공은 나누고 책임은 (기꺼이) 감수합니다. 3. 얍삽한 사람은 잘 나갈 때 돕지만, 헌신적인 사람은 당신이 뒤처질 때도 돕습니다. 4. 얍삽한 사람은 친절을 약점의 신호로 보지만, 헌신적인 사람은 압니다. 친절..

🧢 어쩌면 메타버스보다 더 주목해야 할 트렌드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yFWjOFf82ElqrLgZm_SnWD2YwIzP3Q== 🧢 어쩌면 메타버스보다 더 주목해야 할 트렌드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속 인상깊었던 글: 💭 로블록스가 점점 더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는 이유 1. 사람이 많이 모이면 거기에 광고를 하고 싶은 사람이 등장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데요. 그리고 이건 메타버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2. 그래서인지 최근 들어 나이키, 반스 등의 주요 브랜드들이 로블록스 안에서 쇼룸을 만들고 자신만의 경기장을 만드는 등 광고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요. 치폴레, 현대차 등도 이 흐름에 가세했고요. 3. 사실 하루 평균 4730만 명..

🧢 습관이 운명을 바꾸기도 합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1zPKwtOMVNw6FF22ud2CN3QueToAfQ== 🧢 습관이 운명을 바꾸기도 합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뉴스레터 중 인상깊었던 내용: 💭 빼먹지 않고 매일 해야 할 10가지 1. 산책하기 2. 몰입해서 일하기 3. 친절하기 4. 독서 5. 조용한 공간에서 생각 정리하기 6. 격렬한 운동 7.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 8. 하루에 한 번 이상 감사하다고 말하기 9. 최소 8시간 잠자기 10. 하루를 리뷰하기 1. 생각해보니 난 산책을 살면서 거의 해보지 않은 것 같다. 집 밖에 너무 나가지 않는 걸지도. 사실 뭐 코로나 때문이기도 하고. 가끔은 집 주변 숲을 거닐 필요가 있는걸까? 2..

🧢 위대한 창조는 끊임없는 수정에서 나옵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tlNpfWZSTNRB_MTbYGgOdVVuFoKmXw== 🧢 위대한 창조는 끊임없는 수정에서 나옵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이번 뉴스레터 속 인상깊었던 글: 💭자신의 생각이 틀렸다는 걸 솔직하게 인정하는 사람이 오히려 더 신뢰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1. 자신의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과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고백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일이다. 자기 내면의 독재자를 떨쳐낸다고 해도, 다른 사람들의 비웃음을 직면해야 하는 위험을 추가로 무릅써야 하니까. 2. 경우에 따라서 우리는, 다른 사람이 내가 틀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그동안 쌓아온 나의 명성이 무너질지..